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VEGA Conflict/오버드라이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VEGA Conflict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VEGA Conflict/함선
,
,
,
,
,


1. 개요
1.1. AXIS
1.1.1. 서지 코어
1.2. 알타리안
1.2.1. 파이어스톰 오버드라이브
1.2.2. 탄막 오버드라이브
1.2.3. 카탈리스트 오버드라이브
1.2.4. 발리스타 오버드라이브
1.2.5. 안가드/반격 필드 생성기
1.2.6. 눈에는 눈
1.2.7. 강타
1.2.8. 연합
1.2.9. 중단점
1.2.10. 구원자
1.2.11. 강화
1.2.12. 급속
1.2.13. 사냥
1.2.14. 복수
1.2.15. 렉스 탤리오니스
1.2.16. 리퍼 맹습
1.2.17. 심판
1.2.18. 습격
1.2.19. 스커미셔 중대
1.2.20. 교란 중대
1.2.21. 가디언 중대
1.3. 움브라
1.3.1. 블러드헌트
1.3.2. 컬링
1.3.3. 피에 대한 굶주림
1.3.4. 고르곤의 응시
1.3.5. 블러드 러시
1.3.6. 보복
1.3.7. 정지
1.3.8. 피비린내
1.3.9. 전투 증원군[1]
1.3.10. 스토크
1.3.11. 라일
1.3.12. 피에 대한 갈증
1.3.13. 혼란 야기
1.3.14. 무력화시키다
1.3.15. 맹습
1.3.16. 정체
1.3.17. 스크램블
1.4. 파마콘
1.4.1. 페이즈 상태
1.4.2. 페이즈 상태 종료 (트로이)
1.4.3. 페이즈 상태 종료 (데몬)
1.4.4. 페이즈 상태 종료 (세그폴트)
1.4.5. 페이즈 상태 종료 (인히비터)
1.4.6. 페이즈 상태 종료 (오메가)
1.4.7. 오메가 레이저
1.4.8. 네트워크 동기화
1.4.9. 레이저 배열
1.4.10. 파열
1.4.11. 균열
1.4.12. 기가펄스
1.4.13. 스터터 살보
1.4.14. 디프래그
1.4.15. 부수 통상
1.5. 스펙터
1.5.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스위치)
1.5.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스위치)
1.5.3. 프로제네터 앰프
1.5.4.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브레이커)
1.5.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브레이커)
1.5.6. 자동 추적
1.5.7.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데드아이)
1.5.8.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데드아이)
1.5.9. 집중 사격
1.5.10.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토러스)
1.5.11.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토러스)
1.5.12. 스펙터 작전
1.5.1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커맨단테)
1.5.14.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커맨단테)
1.5.15. 강화 상태
1.5.1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아크)
1.5.1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아크)
1.5.1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카스틱)
1.5.1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카스틱)
1.5.20. 갈등의 통찰력
1.5.2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서브버터)
1.5.2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서브버터)
1.5.2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버클러)
1.5.24. 프라임 시프트 이지스 필드 (버클러)
1.5.2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버클러)
1.5.2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브로드사이더)
1.5.2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브로드사이더)
1.5.2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잠입자)
1.5.2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잠입자)
1.5.30.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아키텍트)
1.5.31.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아키텍트)
1.5.32.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컨서버토르)
1.5.33.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컨서버토르)
1.5.34.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군함기)
1.5.3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군함기)
1.5.3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캐논에이드)
1.5.3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캐논에이드)
1.5.38. 거리계
1.5.39.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변조기)
1.5.40. 변조기 프로토콜
1.5.4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오피티오)
1.5.4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오피티오)
1.5.4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슬링샷)
1.5.44.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슬링샷)
1.5.45. 슬라이드 시스템
1.5.4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캐피탈)
1.5.4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캐피탈)
1.5.4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익스큐터)
1.5.4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익스큐터)
1.6. 레트로시터
1.6.1. 즉형 형태 - 감속
1.6.2. 즉형 형태 - 약화
1.6.3. 즉형 형태 - 방어막 방해
1.6.4. 즉형 형태 - 무기 전파 방해
1.6.5. 사냥꾼 계획 1단계
1.6.6. 사냥꾼 계획 2단계
1.6.7. 빠른 조립
1.6.8. 저지 시스템
1.6.9. 풀 리버스
1.6.10. 전장 구조 - 레인저
1.6.11. 전장 구조 - 타이탄
1.6.12. 전장 구조 - 전투기
1.7. 레트로신 컨소시엄
1.7.1. 통합 반사 시스템 (중재자)
1.7.2. 통합 반사 시스템 (미디에이터)
1.7.3. 통합 반사 시스템 (아르비트레이터)
1.7.4. 통합 반사 시스템 (에듀케이터)
1.7.5. 통합 반사 시스템 (저지)


1. 개요[편집]


알타리안의 '바스티온 순양함'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추가된 시스템으로 함선마다 해당 특성의 발동 조건이 충족될 경우 다양한 보너스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베스터를 제외한 7티어 이상의 함선들은 새로 출시될 때 반드시 오버드라이브를 하나 이상 가진다.


1.1. AXIS[편집]



1.1.1. 서지 코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하베스터
종류 및 이미지서지 코어
(Serge Core)
파일:over0.png
인게임 설명
공통 성능내구력이 75%/50%/25%/0% 남으면 발동
5,000m의 경고 사거리를 보여준 후, 교전 반경이 5,750m이고 대미지 3,000의 외계인 속성 범위형 폭발을 일으킴[2]
서지 코어는 하베스터 전용 오버드라이브이다. 함선의 체력이 75%, 50%, 25%에 도달하면 외계인 대미지를 입히는 거대한 충격파를 8초동안 충전한다. 함선이 파괴되면 이전의 모든 충격파 충전 시간이 취소되고 마지막 충격파가 즉시 방출된다. 교전 반경은 5,750m이며 두 번째로 넓은 충격파를 방출하는 오버드라이브다.


1.2. 알타리안[편집]



1.2.1. 파이어스톰 오버드라이브[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바스티온, 불한당
종류 및 이미지파이어스톰 오버드라이브
(Firestorm Overdrive)
파일:over1.png
인게임 설명방어막이 사라지면 N초 동안 강력한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됩니다.
공통 성능방어막이 모두 소진되면 발동
DPS +300%
방어막 우회 +40%
사정거리 +2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4초 지속
마크 Ⅱ7초 지속
마크 Ⅲ10초 지속
마크 Ⅳ13초 지속
마크 Ⅴ16초 지속
마크 Ⅵ16초 지속
바스티온 순양함과 불한당 순양함 전용 오버드라이브. 방어막이 완전히 고갈되면 일시적으로 함선의 DPS, 사정거리, 방어막 우회력을 상승시켜준다. 순양함의 DPS가 다른 함종들보다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일회용이지만 엄청난 이점을 가진 오버드라이브이며, 마크 업을 할수록 오버드라이브 지속 시간이 늘어난다.

다만 방어막이 고갈되면 함선의 생존률 자체도 떨어지므로 오버드라이브 지속 시간동안 완전한 딜을 주기에는 무리다.[3] 단순히 마지막 발악 정도로만 생각하자.

파이어스톰 오버드라이브가 출시된 초반에는 발동 시 사정거리 +40%이었으나 곧 패치되었다.


1.2.2. 탄막 오버드라이브[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파라곤, 킹핀
종류 및 이미지탄막 오버드라이브
(Barrage Overdrive)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포격 각도에 적이 위치할 때마다 발동되는 치명적인 오버드라이브입니다.
공통 성능포각에 상대 함선이 위치할 때 발동
방향 전환 속도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교전 반경 +100%
무기 속도 +10%
마크 Ⅱ교전 반경 +125%
무기 속도 +15%
마크 Ⅲ교전 반경 +150%
무기 속도 +20%
마크 Ⅳ교전 반경 +175%
무기 속도 +25%
마크 Ⅴ교전 반경 +200%
무기 속도 +30%
마크 Ⅵ교전 반경 +200%
무기 속도 +30%
파라곤, 킹핀 전함 전용 오버드라이브. 양 포각에 적 함선이나 모듈[4]이 있을 때 발동한다. 키네틱 무기든 폭발성 무기든 무기에 교전 반경 옵션이 존재한다면 오버드라이브 효과를 받을 수 있다.[5]

앞서 말한 파이어스톰 오버드라이브와 달리 조건만 충족한다면 얼마든지 발동될 수 있다. 오버드라이브 발동 도중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그 상태에서 최대 3초까지 지속된다.

양 포각에 적이 존재한다는 것은 함선이 포위가 되었을 때의 상황이 대부분을 차지해서 생존률이 떨어질 수 있다. 발동 조건도 꽤나 복잡하기 때문에 오버드라이브는 기지 공격이나 파밍에 적합하다.

이후 양쪽 사정거리에 적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사정거리 안에 적이 있기만 해도 되는 조건으로 크게 완화되었다. 적 함선을 공격할 수만 있다면 상시 발동되는 수준으로 크게 상향되었다.


1.2.3. 카탈리스트 오버드라이브[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카발리에, 어쌔신
종류 및 이미지카탈리스트 오버드라이브
(Catalyst Overdrive)
파일:over4.png
인게임 설명감속 효과에 걸리면 N초 동안 놀라운 힘을 발휘하는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됩니다.
공통 성능감속 효과를 받을 경우 발동
방어막 재충전 +5%/초
방어막 방어 +5%
함선 속도 +50%
재충전 지연 없음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2초 지속
마크 Ⅱ3초 지속
마크 Ⅲ4초 지속
마크 Ⅳ5초 지속
마크 Ⅴ6초 지속
마크 Ⅵ6초 지속
카발리에, 암살 쾌속정 전용 오버드라이브. 감속 효과에 걸리면 일시적으로 이동 속도 증가, 방어막 방어력과 방어막 재충전율 증가 버프를 받는다.

특히 NET 격퇴포를 장착한 전함을 상대로 효과적이다. 쾌속정의 기본 추가 전함 데미지와 카탈리스트 오버드라이브의 시너지가 어우러져 전함을 제거하는 데 탁월하기 때문. 탄막 오버드라이브처럼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그 상태에서 2~6초까지 지속된다. 감속 효과에 걸리는 시간이 6초이므로 실질적인 오버드라이브 지속 시간은 8초 이상이다.

그렇다고 해서 방심하지 말자. 능력만 믿고 그대로 적함에 그대로 돌진하면 방어막이 바닥나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상황 판단을 잘하여 함선 컨트롤을 해야 한다.


1.2.4. 발리스타 오버드라이브[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인퀴지터, 사보추어
종류 및 이미지발리스타 오버드라이브
(Ballistar Overdrive)
파일:over3.png
인게임 설명N 탄약 발사 주기 후 발동됩니다. 3초 동안 모든 드라이버 발사체는 길어진 비행 사정거리와 기지 벽을 관통하는 능력을 갖게 됩니다.
공통 성능N회 무기 발사시 발동[6]
3초 지속
관통량 +10
벽 관통 +2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35
발사체 사정거리 +3,000m
마크 ⅡN=30
발사체 사정거리 +4,000m
마크 ⅢN=25
발사체 사정거리 +5,000m
마크 ⅣN=24
발사체 사정거리 +6,000m
마크 ⅤN=18
발사체 사정거리 +7,000m
마크 ⅥN=18
발사체 사정거리 +7,000m
무기를 일정 개수 발사하면 모든 드라이버 무기의 발사체 사정거리, 관통량을 증가시켜준다. 특히 발사체 사정거리가 높은 이클립스 드라이버와 랜서 드라이버가 궁합이 잘 맞는다. 업그레이드 할수록 오버드라이브 발동에 필요한 무기 사격량이 줄어든다.

발사체 사정거리와 드라이버 무기의 관통량을 증가시켜주는지라 함대전보다 기지 공격에 효과적이다. 밀집된 기지가 아니더라도 증가된 발사체 사정거리 덕분에 멀리 있는 모듈이라도 맞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지 모듈에 관통 저항이 생긴 지금은 쓸모가 없어져버렸다.


1.2.5. 안가드/반격 필드 생성기[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버드라이브 생성기 (소버린)
종류 및 이미지안가드 오버드라이브
(Enguard Overdrive)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3 또는 그 이상의 적이 표적 아크 내에 있을 때, 방어적인 자세를 취득하고, 함대 지원 필드를 활성화하면서 공격적인 및 방어적인 보너스를 제공합니다.
공통 성능함재기 또는 무기 사정거리 내에 상대 함선이 3대 이상 있을 때 발동
연속 카운터 +5
관통 카운터 +5
재충전 지연 없음
방어막 방어 +10%
안가드 지원 필드 생성[7]
보유 함선 및 부품오버드라이브 생성기 (소버린)
종류 및 이미지반격 오버드라이브
(Riposte Overdrive)
파일:over5.png
인게임 설명소버린 항공모함에게 2,500 손상을 입힌 경우 함대에 있는 함선들을 규합시키는 대응을 개시하며 방어력을 3초 동안 대폭 증가시킵니다.
공통 성능2,500의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방어막 재충전 +10% 에너지/초
재충전 지연 없음
3초 지속
반격 지원 필드 생성[8]
소버린, 유서퍼[9] 전용 오버드라이브. 오버드라이브 발전기를 장착해야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된다.

반격 오버드라이브는 소버린 항공모함이 일정량의 대미지를 입으멱 발동하여 일시적으로 함대 전체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상승시킨다. 안가드 오버드라이브는 무기 사정거리 내 3대 이상의 적 함선이 있을 때 발동되며 반격과 마찬가지로 공격력과 방어력을 올려주준다. 사정거리 내 3대 이상의 함선이 없는 한 영구적으로 발동된다. 따라서 파밍과 PvP 모두 출중한 인가드가 더 많이 쓰이는 편.


1.2.6. 눈에는 눈[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르네상스
종류 및 이미지눈에는 눈
(Feedback Loop)
파일:over14.png
인게임 설명전함이 N DOT 장착을 축적하면 적의 페이징 능력을 억제하는 교란을 촉발합니다. 또한 적을 노련하게 압도하는 능력을 향상합니다.
공통 성능N회 DoT 축적 시 발동
10초 지속
적에게 50% 감속
방향 전환 속도 +15°/초
방어막 재충전 +10% 에너지/초
재충전 지연 없음
방어막 방어 +5%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30
페이즈 충전 해킹 -40%
플라즈마 저항 10%
횡이동 +40m/s
마크 ⅡN=25
페이즈 충전 해킹 -45%
플라즈마 저항 10%
횡이동 +60m/s
마크 ⅢN=20
페이즈 충전 해킹 -50%
플라즈마 저항 20%
횡이동 +80m/s
마크 ⅣN=15
페이즈 충전 해킹 -55%
플라즈마 저항 20%
횡이동 +100m/s
마크 ⅤN=10
페이즈 충전 해킹 -60%
플라즈마 저항 30%
횡이동 +120m/s
마크 ⅥN=10
페이즈 충전 해킹 -60%
플라즈마 저항 30%
횡이동 +120m/s
DoT 대미지를 일정 수준 이상 입으면 발동된다. 페이즈 충전 해킹 옵션 덕분에 특히 파마콘한테 더욱 효과적이며, 여분의 플라즈마 저항과 지연 없는 방어막 재충전으로 방어막이 바닥날 일이 거의 없어진다. 업그레이드 할수록 페이즈 해킹률이 올라가고 발동에 필요한 DoT 대미지의 양이 적어진다.

DoT 대미지는 20초간 적용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발동 시간은 20초 이상이다.[10] 다만 이름처럼 상대 파마콘 함선이 약해 DoT 대미지를 주지 못하고 보호막이 없어져 녹아내리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약한 함선에 약하고 강한 함선에 강한 특이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1.2.7. 강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제우스
종류 및 이미지강타
(Smite)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제우스가 N 대미지를 입으면 최적 모드로 들어가서 M초 동안 방어 재생과 리코쳇 성능을 신의 경지로 향상합니다.
공통 성능N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무기 속도 +1,250m/s
방어막 방어력 +10%
최대 리코쳇 각도 +360도
리코쳇 +2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600
5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3% 에너지/초
마크 ⅡN=525
6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3% 에너지/초
마크 ⅢN=450
7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4% 에너지/초
마크 ⅣN=375
8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4% 에너지/초
마크 ⅤN=300
9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5% 에너지/초
마크 ⅥN=300
9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5% 에너지/초
제우스 전용 오버드라이브. 내구력에 일정한 피해가 들어오면 발동하며 리코쳇 성능과 방어막 성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리코쳇은 글랜스 캐논과 같은 리코쳇 무기만 적용되며 방어막은 재충전 속도가 빨라지고 방어막 방어력을 강화한다. 마크업을 할수록 받아야 하는 피해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여러 번 발동이 가능하다.


1.2.8. 연합[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라토르 드레드노트
종류 및 이미지연합
(Unite)
파일:over1.png
인게임 설명방어막에 N 손상을 입힌 경우 생성된 함선에 공격력 강화가 20초 동안 발동됩니다.
공통 성능방어막에 N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페이즈 충전 해킹 -85%
페이즈 충전 해킹 10초 지속
20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3,000
DPS +100%
방어막 방어력 +6%
함선 속도 +50%
마크 ⅡN=2,900
DPS +120%
방어막 방어력 +6%
함선 속도 +60%
마크 ⅢN=2,800
DPS +140%
방어막 방어력 +8%
함선 속도 +70%
마크 ⅣN=2,700
DPS +160%
방어막 방어력 +8%
함선 속도 +80%
마크 ⅤN=2,600
DPS +180%
방어막 방어력 +10%
함선 속도 +90%
마크 ⅥN=2,500
DPS +200%
방어막 방어력 +10%
함선 속도 +100%
오라토르 드레드노트 전용 오버드라이브로 일정량의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하고, 효과는 질럿들에게 적용된다. 오라토르가 받는 게 아니다. 질럿 강화 중 특히 페이즈 충전 해킹의 강도가 매우 강해서 페이즈 충전을 아예 못하게 막아버릴 수 있다. 이동 속도와 DPS가 매우 증가하므로 적 파마콘 함선이 오라토르를 때려도 금방 질럿들이 붙어 막아낼 수 있다. 지속 시간도 길어 꽤나 쓸만한 오버드라이브다.


1.2.9. 중단점[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라토르 드레드노트
종류 및 이미지중단점
(Breakpoint)
파일:over15_2.png
인게임 설명2 생성된 함선을 잃을 때 드레드노트에 방어력 보너스가 촉발되며 생존 가능성을 N초 동안 증가합니다.
공통 성능생성된 함선 2대를 잃을 때 발동
DPS +100%
방향 전환 속도 +12°/초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12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4%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0%
마크 Ⅱ12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5%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1%
마크 Ⅲ15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5%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2%
마크 Ⅳ15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6%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3%
마크 Ⅴ18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6%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4%
마크 Ⅵ18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7%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5%
오라토르 드레드노트 전용 오버드라이브. 생성된 함선 2대를 잃으면 발동하며 방어막 성능을 증가시켜준다.

1.2.10. 구원자[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에이잭스
종류 및 이미지구원자
(Savior)
파일:over13.png
인게임 설명최대 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동맹이 방어력을 잃으면 지원 필드가 활성화됩니다. 지원 필드 내에 있는 동맹에게 가한 모든 대미지는 대신 에이잭스에게 가해집니다. 지원 필드는 5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최대 무기 사정거리 내 아군 함선이 방어막을 잃을 때 발동
방어막 방어력 +10%
구원자 필드 생성[11]
5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방어막 재충전 +2% 에너지/초
마크 Ⅱ방어막 재충전 +2% 에너지/초
마크 Ⅲ방어막 재충전 +4% 에너지/초
마크 Ⅳ방어막 재충전 +4% 에너지/초
마크 Ⅴ방어막 재충전 +6% 에너지/초
마크 Ⅵ방어막 재충전 +6% 에너지/초
에이잭스의 오버드라이브. 주변 아군 함선이 방어막을 잃게 되면 발동하며, 지속 시간 동안 일정 범위 내 아군 함선이 받는 피해를 모두 자신이 대신 받는다. 이때 방어막 방어력이 10% 더 증가하기 때문에 아군 함선이 피해를 받더라도 에이잭스는 방어막에만 피해를 입게 되고 방어막 재충전 속도도 증가하는지라 방어막이 고갈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준다.


1.2.11. 강화[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에이잭스
종류 및 이미지강화 오버드라이브
(Fortify Overdrive)
파일:over1.png
인게임 설명방어막에 16,000 손상을 입힌 경우 에이잭스는 비행 시스템 전력을 전용해서 자신에게 받을 엄청난 대미지에 대한 요새화 능력이 2초 동안 발동됩니다.
공통 성능방어막에 16,000 대미지를 입을 때마다 발동
2초 지속
함선 속도 -80%
방어막 재충전 +7% 에너지/초
재충전 지연 없음
에너지 저항 +100%
폭발성 저항 +100%
키네틱 저항 +100%
외계인 저항 +100%
플라즈마 저항 +100%
에이잭스 전용 오버드라이브. 마크업을 해도 성능은 같으며 방어막에 16,000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된다. 이때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대미지 유형을 완전히 막아내기에 거의 무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방어막 충전 속도가 증가되어 손상된 방어막 에너지를 짧은 시간동안이라도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 하지만 함선 속도가 80%나 감소되고 고난이나 보이드 대미지는 그대로 받는지라 움브라에게는 취약하다.


1.2.12. 급속[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리온
종류 및 이미지급속 오버드라이브
(Swift Overdrive)
파일:over1.png
인게임 설명오리온이 1,250 방어막 대미지를 입으면 4초 동안 이동성 시스템이 작동되어 적을 추적하고 무기가 스크린에게 가하는 대미지를 증가합니다.
공통 성능방어막에 1,250 대미지를 입을 때마다 발동
4초 지속
확산력 -75%
방어막 방어력 +10%
함선 속도 +100%
횡이동 +100%
플라즈마 저항 +10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30%
스크린 대미지 +10%
마크 ⅡDPS +30%
스크린 대미지 +10%
마크 ⅢDPS +40%
스크린 대미지 +20%
마크 ⅣDPS +40%
스크린 대미지 +20%
마크 ⅤDPS +50%
스크린 대미지 +40%
마크 ⅥDPS +50%
스크린 대미지 +40%
오리온 전용 오버드라이브로 1,250 방어막 대미지를 입으면 4초동안 함선 속도, DPS, 방어막 방어력이 대폭 증가한다. 오버드라이브 발동 시 방어막 방어력은 100%가 되는데, 방어막 우회가 달린 무기로 타격하지 않는 한 내구력 자체가 깎이지 않는다. 특히 8티어 시점에서 상당한 기동성을 얻게 되는 파마콘 함선들에게 효과적이다. 빠른 속도로 따라잡거나 쉽게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

다만 오리온의 장갑 슬롯은 하나 뿐이므로 방어막 우회에 취약하며 상대의 무기에 우회부품이 달려 있다면 오버드라이브를 몇번 발동하고 부숴지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12] 또한 발동 시간이 4초로 8티어 기준 오버드라이브 지속 시간이 상당히 짧은 편이다.


1.2.13. 사냥[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아르테미스
종류 및 이미지사냥
(Hunt)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5,000 내구력 대미지를 줄 때 아르테미스는 20초 동안 추가 대미지를 추고 전투 중인 적을 혼란시키는 드론 중대를 배치합니다.
공통 성능5,000 대미지를 입히면 발동
20초 지속
비행 시간 18초
스크램블 8,500m
드론 중대 속도 1,800m/s
페이즈 충전 해킹 -20%
해킹 10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드론 중대 외계인 DPS: 900
드론 중대 내구력: 2,600
마크 Ⅱ드론 중대 외계인 DPS: 1,050
드론 중대 내구력: 2,600
마크 Ⅲ드론 중대 외계인 DPS: 1,200
드론 중대 내구력: 3,200
마크 Ⅳ드론 중대 외계인 DPS: 1,350
드론 중대 내구력: 3,200
마크 Ⅴ드론 중대 외계인 DPS: 1,500
드론 중대 내구력: 6,000
마크 Ⅵ드론 중대 외계인 DPS: 1,650
드론 중대 내구력: 6,000
적 함선에게 5,000 대미지를 입히면 드론 중대를 배치하며 페이즈 충전 해킹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다. 아르테미스를 마크 5까지 업그레이드하면 드론 중대의 내구력이 대폭 증가하게 된다.


1.2.14. 복수[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아르테미스
종류 및 이미지복수
(Vengeance)
파일:over16.png
인게임 설명1 사냥 드론이 파괴되거나 귀환하면, 아르테미스는 10초 동안 전투 능력을 상당히 증가시켜주는 추가 보너스를 얻습니다.
공통 성능전투 드론이 파괴되거나 귀환하면 발동
10초 지속
발사 방해
무기 속도 +15%
함선 속도 +15%
방향 전환 속도 +15%
횡이동 +15%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충전 방해 +50%
냉각 방해 +50%
마크 Ⅱ충전 방해 +50%
냉각 방해 +50%
마크 Ⅲ충전 방해 +75%
냉각 방해 +75%
마크 Ⅳ충전 방해 +75%
냉각 방해 +75%
마크 Ⅴ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마크 Ⅵ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아르테미스의 오버드라이브. 사냥 오버드라이브에 의해 생성된 전투 중대들이 파괴되거나 귀환하면 발동된다. 10초 동안 함선 속도가 조금 빨라지고 적 함선의 무기의 충전 속도나 재장전 속도를 늦춘다.

1.2.15. 렉스 탤리오니스[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고대 리퍼
종류 및 이미지렉스 탤리오니스
(Lex Talionis)
파일:over16.png
인게임 설명이 함선의 리퍼가 파괴되면 고대 리퍼의 전투 시스템이 오버드라이브로 설정되며 5초 동안 이동성과 전투 보너스를 얻습니다.
공통 성능고대 리퍼가 소환한 리퍼가 파괴되면 발동
5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10%
무기 속도 +10%
빙향 전환 속도 +5%
가속 +5%
마크 ⅡDPS +10%
무기 속도 +10%
빙향 전환 속도 +10%
가속 +10%
마크 ⅢDPS +15%
무기 속도 +15%
빙향 전환 속도 +15%
가속 +15%
마크 ⅣDPS +15%
무기 속도 +15%
빙향 전환 속도 +20%
가속 +20%
마크 ⅤDPS +20%
무기 속도 +30%
빙향 전환 속도 +25%
가속 +25%
마크 ⅥDPS +20%
무기 속도 +30%
빙향 전환 속도 +25%
가속 +25%
고대 리퍼의 오버드라이브로 고대 리퍼가 소환한 리퍼가 파괴되면 DPS와 이동성이 증가한다. 일반 함선 속도 뿐만이 아니라 가속도까지 증가하여 함선이 최고 속력에 도달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1.2.16. 리퍼 맹습[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고대 리퍼
종류 및 이미지리퍼 맹습
(Reaper Onslaught)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고대 리퍼가 적에게 1,000 내구력 피해를 줄 때 20초 동안 적을 돌격하고 물려드는 리퍼 중대를 생성합니다.
공통 성능1,000 내구력 피해를 줄 때 발동
20초 지속
10초의 생성 인터벌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외계 리퍼 외계인 DPS: 1,000
외계 리퍼 내구력: 26,100
생성 속도: 2
생성 한도: 2
마크 Ⅱ외계 리퍼 외계인 DPS: 1,300
외계 리퍼 내구력: 30,000
생성 속도: 2
생성 한도: 2
마크 Ⅲ외계 리퍼 외계인 DPS: 1,600
외계 리퍼 내구력: 33,000
생성 속도: 3
생성 한도: 3
마크 Ⅳ외계 리퍼 외계인 DPS: 1,900
외계 리퍼 내구력: 39,000
생성 속도: 3
생성 한도: 3
마크 Ⅴ외계 리퍼 외계인 DPS: 2,200
외계 리퍼 내구력: 45,000
생성 속도: 4
생성 한도: 4
마크 Ⅵ외계 리퍼 외계인 DPS: 2,200
외계 리퍼 내구력: 45,000
생성 속도: 4
생성 한도: 4
고대 리퍼의 오버드라이브. 일정 내구력 피해를 입히면 외계 리퍼를 소환하며 오버드라이브 지속 시간이 끝나면 그 리퍼들은 파괴된다. 함선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함선과 마찬가지로 방어 모드와 공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1.2.17. 심판[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임퍼레이터
종류 및 이미지심판
(Reckoning)
파일:over1.png
인게임 설명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가 N 방어막 피해를 입으면 5초 동안 방어 시스템을 강화하여 방어막 재생을 제공하고 모든 받는 피해를 방어막으로 막습니다.
공통 성능N 대미지의 방어막 피해를 입으면 발동
5초 지속
방어막 재충전 +20% 에너지/초
방어막 방어력 +10%
방향 전환 속도 +2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10,000
마크 ⅡN=10,000
마크 ⅢN=18,000
마크 ⅣN=18,000
마크 ⅤN=26,000
마크 ⅥN=26,000
임퍼레이터가 일정 방어막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하며 마크업을 할 수록 향상되는 부분이 없고 오히려 발동 조건이 더 어려워진다. 하지만 어차피 임퍼레이터를 마크업 할 수록 더 많은 방어막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서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오버드라이브 발동시 방어막 재생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고 방어막 방어력이 증가한다. 방어막이 모두 고갈되어도 5초만에 최대치로 충전할 수 있는 재생 속도를 가져서 높은 DPS 또는 높은 방어막 우회력을 가져야만 내구력에 피해를 줄 수 있다.

1.2.18. 습격[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임퍼레이터
종류 및 이미지습격
(Assailment)
파일:over16.png
인게임 설명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의 드론 중대가 파괴되거나 귀환하면, 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의 전투 시스템은 10초 동안 전투 능력을 증가시켜주는 보너스 장착을 얻습니다.
공통 성능생성된 전투 중대가 파괴되거나 귀환시 발동
10초 지속
최대 3회 장착
무기 속도 +5%
발사 방해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2%
충전 방해 +10%
냉각 방해 +10%
마크 ⅡDPS +2%
충전 방해 +10%
냉각 방해 +10%
마크 ⅢDPS +3%
충전 방해 +20%
냉각 방해 +20%
마크 ⅣDPS +3%
충전 방해 +20%
냉각 방해 +20%
마크 ⅤDPS +5%
충전 방해 +30%
냉각 방해 +30%
마크 ⅥDPS +5%
충전 방해 +30%
냉각 방해 +30%
습격 오버드라이브는 임퍼레이터가 생성한 드론 중대들이 파괴되거나 귀환할 때 발동한다. 이때 효과는 최대 3회까지 중첩될 수 있는데 마크 엘리트 기준 충전 방해와 냉각 방해를 +9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하지만 상대 함선 수가 적을 수록 드론 중대를 생성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중첩을 유지하기는 힘들다.

1.2.19. 스커미셔 중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임퍼레이터
종류 및 이미지스커미셔 중대
(Skirmisher Squad)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1 적이 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접근하는 적을 5초 동안 정찰하고 교전하는 드론 중대를 배치합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 하나가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발동
비행 시간 20초
스크램블 13,000m
속도 1,800m/s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드론 중대 외계인 DPS: 4,500
드론 중대 내구력: 10,000
마크 Ⅱ드론 중대 외계인 DPS: 5,000
드론 중대 내구력: 10,000
마크 Ⅲ드론 중대 외계인 DPS: 5,500
드론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Ⅳ드론 중대 외계인 DPS: 6,000
드론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Ⅴ드론 중대 외계인 DPS: 6,500
드론 중대 내구력: 15,000
마크 Ⅵ드론 중대 외계인 DPS: 7,500
드론 중대 내구력: 15,000
적 함선 하나가 무기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외계인 드론 중대를 생성한다. 임퍼레이터가 생성하는 드론들 중 가장 높은 DPS를 갖고 외계인 대미지를 주기 때문에 파마콘 함선을 공격하는데 좋다. 가장 높은 DPS를 갖지만 가장 낮은 내구력을 갖는다.

1.2.20. 교란 중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임퍼레이터
종류 및 이미지교란 중대
(Distruption Squad)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2 적이 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접근하는 적을 5초 동안 교란하는 드론 중대를 배치합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 둘이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발동
비행 시간 20초
스크램블 13,000m
속도 1,800m/s
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발사 방해
페이즈 충전 해킹 -50%
해킹 10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드론 중대 폭발성 DPS: 3,000
드론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Ⅱ드론 중대 폭발성 DPS: 3,333
드론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Ⅲ드론 중대 폭발성 DPS: 3,667
드론 중대 내구력: 15,625
마크 Ⅳ드론 중대 폭발성 DPS: 4,000
드론 중대 내구력: 15,625
마크 Ⅴ드론 중대 폭발성 DPS: 4,333
드론 중대 내구력: 18,750
마크 Ⅵ드론 중대 폭발성 DPS: 5,000
드론 중대 내구력: 18,750
두 함선이 임퍼레이터 무기 사정 거리 내로 들어오면 교란 중대를 생성한다. 교란 중대는 폭발성 피해를 입히며 무기 속도를 2배나 늦춰서 상대 함선에게 디버프를 걸 수 있다. 특히 페이즈 충전을 해킹하기 때문에 파마콘이 페이즈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어 페이즈 상태에서 디버프 면역을 갖지 않도록 해 충전 방해와 냉각 방해를 쉽게 적용시킬 수 있다.

1.2.21. 가디언 중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임퍼레이터
종류 및 이미지가디언 중대
(Guardian Squad)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3 적이 임퍼레이터 드레드노트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추가 화력을 제공하고 적을 5초 동안 물려드는 드론 중대를 배치합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 셋이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발동
비행 시간 20초
스크램블 13,000m
속도 1,800m/s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드론 중대 키네틱 DPS: 2,000
드론 중대 내구력: 20,000
마크 Ⅱ드론 중대 키네틱 DPS: 2,222
드론 중대 내구력: 20,000
마크 Ⅲ드론 중대 키네틱 DPS: 2,445
드론 중대 내구력: 25,000
마크 Ⅳ드론 중대 키네틱 DPS: 2,667
드론 중대 내구력: 25,000
마크 Ⅴ드론 중대 키네틱 DPS: 2,889
드론 중대 내구력: 30,000
마크 Ⅵ드론 중대 키네틱 DPS: 3,333
드론 중대 내구력: 30,000
세 함선이 임퍼레이터 포격 각도로 들어오면 가디언 중대를 생성한다. 임퍼레이터가 생성하는 드론 중대들 중 가장 높은 내구력을 가진게 특징이다.

1.3. 움브라[편집]



1.3.1. 블러드헌트[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불사조
종류 및 이미지블러드헌트
(Blood Hunt)
파일:over7.png
인게임 설명적의 항공모함 필드에 있었던 동안 모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함선을 사냥 모드로 전환됩니다.
공통 성능상대 항공모함 필드 내에 있으면 발동
방어막 우회 +50%
함선 속도 +50%
방향 전환 속도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항공모함 대미지 +2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10%
마크 Ⅱ항공모함 대미지 +4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15%
마크 Ⅲ항공모함 대미지 +60%
에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20%
마크 Ⅳ항공모함 대미지 +8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25%
마크 Ⅴ항공모함 대미지 +10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30%
마크 Ⅵ항공모함 대미지 +10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저항 +30%
불사조 전용 오버드라이브. 항공모함 또는 함선이 발동하는 지원 필드 내부에 있기만 해도 고난을 제외한 모든 대미지 저항, 함선 속도, 방어막 우회력을 증가시켜준다. 필드가 대부분 존재하는 여러 항모와 특히 소버린 항공모함에게 매우 치명적이다.

다만 항공모함 필드에 있어야 발동되기 때문에 필드가 없는 상태에서는 무용지물이고, 불사조 또한 성능이 별로라서 쓸 일도 없고 발동되기도 힘든 비운의 오버드라이브다.

움브라 함선이면서 플라즈마 저항을 가질 수 있는 특이한 케이스의 오버드라이브이다.

1.3.2. 컬링[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레이스, 루나틱
종류 및 이미지컬링
(Culling)
파일:over13.png
인게임 설명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적이 방어를 잃으면 이 함선이 N초 동안 추적 모드로 전환하여 보너스 회복과 공격을 얻어서 전투에서 함선들을 추려냅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 적 함선이 방어막, 애블러티브 장갑 또는 스크린을 잃으면 발동
발사 방해
무기 속도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4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4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40
충전 방해 +50%
냉각 방해 +50%
마크 Ⅱ7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8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80
충전 방해 +50%
냉각 방해 +50%
마크 Ⅲ10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12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20
충전 방해 +75%
냉각 방해 +75%
마크 Ⅳ13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16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60
충전 방해 +75%
냉각 방해 +75%
마크 Ⅴ16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20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200
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마크 Ⅵ16초 지속
애블러티브 회복 +20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200
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레이스, 루나틱 전용 오버드라이브. 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적이 방어막이나 애블러티브 장갑을 잃으면 발동된다.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된 상태에서 공격을 입은 적은 무기 발사 방해 효과가 적용되고 자신은 추가 애블러티브 회복이 적용되어 안정적인 애블러티브 회복이 가능하다. 업그레이드 할수록 무기 발사 방해 효과가 강해진다.


1.3.3. 피에 대한 굶주림[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우거, 새비지
종류 및 이미지피에 대한 굶주림
(Bloodlust)
파일:over8.png
인게임 설명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적의 함선이 파괴되면 이 함선이 추적 모드로 전환하여 15초 동안 보너스 회복과 공격을 얻어서 전투에서 함선들을 추려냅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 적 함선 파괴되면 발동
15초 지속
최대 5회 장착
교전 반경 +2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애블러티브 회복 +3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30
DPS +2%
마크 Ⅱ애블러티브 회복 +6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60
DPS +4%
마크 Ⅲ애블러티브 회복 +9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90
DPS +6%
마크 Ⅳ애블러티브 회복 +12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20
DPS +8%
마크 Ⅴ애블러티브 회복 +15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50
DPS +10%
마크 Ⅵ애블러티브 회복 +15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50
DPS +10%
오우거 새비지 전용 오버드라이브. 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함선이 파괴되면 15초동안 교전 반경과 DPS, 애블러티브 회복을 올려준다.[13]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된 상태에서 조건을 또 충족한다면 효과가 중첩되며, 최대 5번까지 스텍을 올릴 수 있다.

교전 반경을 증가시켜 주어서 기본적으로 상당한 교전 반경을 가지고 있는 노바 미사일이 추천된다. 탄퍼짐이 있더라도 교전 반경 스텍을 올려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


1.3.4. 고르곤의 응시[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메두사
종류 및 이미지고르곤의 응시
(Gorgon Gaze)
파일:over3.png
인게임 설명N 탄약 발사 주기 후 발동됩니다. 3초 동안 모든 드라이버 발사체는 주어진 시간 동안 벽을 비활성화하는 벽 전자파 펄스 효과 능력을 갖게 됩니다.
공통 성능N회 무기 발사 시 발동
3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35
벽 전자기 펄스 2초 지속
마크 ⅡN=30
벽 전자기 펄스 3초 지속
마크 ⅢN=25
벽 전자기 펄스 4초 지속
마크 ⅣN=24
벽 전자기 펄스 5초 지속
마크 ⅤN=18
벽 전자기 펄스 6초 지속
마크 ⅥN=18
벽 전자기 펄스 6초 지속
메두사 전용 오버드라이브. 일정 탄약 발사 시 무기의 사정거리 전방에 있는 벽[14]을 무력화시킨다.[15] 벽의 개수가 많은 알타리안 기지에 효과적이며, PvP가 아닌 파밍에 중점을 둔 특이한 오버드라이브다.


1.3.5. 블러드 러시[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맨티코어, 퍼라야
종류 및 이미지블러드 러시
(Blood Rush)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적이 맨티코어 전함 포격 각도 내의 살상 구역에 들어가서 블러드 러시가 촉발되면 먹잇감에 공포를 주고 방어막을 교란하며 기동성과 순수 대미지 잠재력을 향상합니다.
공통 성능이중 포격 각도에 적 함선이 위치하면 발동
방어막 교란 5초 지속
무기 속도 +3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2%
방향 전환 속도 +50%
횡이동 +120m/s
마크 Ⅱ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4%
방향 전환 속도 +55%
횡이동 +140m/s
마크 Ⅲ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6%
방향 전환 속도 +60%
횡이동 +160m/s
마크 Ⅳ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8%
방향 전환 속도 +65%
횡이동 +180m/s
마크 Ⅴ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10%
방향 전환 속도 +70%
횡이동 +200m/s
마크 Ⅵ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플라즈마, 보이드 방어 교란 10%
방향 전환 속도 +70%
횡이동 +200m/s
맨티코어와 퍼라야 전용 오버드라이브이다. 겹쳐진 이중 포격 각도에 적이 위치할 때마다 발동되는데 무기 속도와 회전 속도/횡이동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5초간 방어막의 저항을 경감시켜 간접적으로 대미지를 증가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1.3.6. 보복[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가고일
종류 및 이미지보복
(Retaliation)
파일:over9.png
인게임 설명3대 이상의 적이 항공모함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버라지 저속과 장거리 미사일을 촉발합니다.
공통 성능3대 이상의 적 함선이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발동
발사체 사정거리 8,000m
무기 속도 1,500m/s
교전 반경 6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미사일 폭발성 DPS: 1,440
적중률: 4
마크 Ⅱ미사일 폭발성 DPS: 1,680
적중률: 4
마크 Ⅲ미사일 폭발성 DPS: 1,920
적중률: 7
마크 Ⅳ미사일 폭발성 DPS: 2,160
적중률: 7
마크 Ⅴ미사일 폭발성 DPS: 2,400
적중률: 10
마크 Ⅵ미사일 폭발성 DPS: 2,400
적중률: 10
가고일의 오버드라이브 중 하나. 알타리안의 소버린 항모의 안가드 오버드라이브와 비슷하게 필드 안으로 적 3대 이상이 들어오면 발동이 된다. 적함이 터지거나 필드 밖으로 나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방사형의 미사일 탄막을 방출하며, 상당히 촘촘하므로 최대 사거리 밖이 아니라면 대부분 맞게 된다. 다만, 미사일 하나하나의 대미지는 높지 않으므로 딱히 효율성이 좋지는 않다.


1.3.7. 정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가고일
종류 및 이미지정지
(Surcease)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가고일 항공모함이 1,750 대미지를 입으면 사정거리에 있는 함선의 발사를 방해합니다.
공통 성능1,750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교전 반경 8,000m
발사 방해
작동 방식
가고일 오버드라이브 중 하나. 가고일의 장갑이 피해를 입으면 원형의 파장을 발생시키는데 이 파장에 맞게 되면 발사 방해 효과를 받는다. 무기는 발사할 때 먼저 무기를 충전한 뒤, 발사를 하고 재장전을 한다. 이때 적 함선이 사정거리 내에 있으면, 정지 오버드라이브의 영향으로 해당 무기는 재장전만 반복하며, 여기다 발사 방해를 받게 되면 그 무기는 다시 충전을 하게 된다. 그래서 발사 방해는 과충전 레이저 무기에 효과적인데 정지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되면 공격하고 있던 레이저를 끊어버릴 수가 있다. Mk. 등급이 높고 장갑이 잘 장착이 되었다면 몇번 파장을 방출해도 크게 지장이 있지는 않으나 가고일이 지속적으로 빠르게 파장을 방출하고 있다면 집중공격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뒤로 빼주거나 다른 함선으로 몸빵해주는 편이 좋다.


1.3.8. 피비린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베헤못
종류 및 이미지피비린내
(Blood Scent)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적군의 함선이 양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피비린내가 감지되어 감속형이 먹잇감을 목표로 하여 먹잇감을 완전히 처부수고 보너스 회복율을 얻게 해줍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이 이중 포격 각도에 위치하면 발동
감속 3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감속 25%
애블러티브 회복 +25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50
마크 Ⅱ감속 30%
애블러티브 회복 +50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00
마크 Ⅲ감속 35%
애블러티브 회복 +75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150
마크 Ⅳ감속 40%
애블러티브 회복 +1,00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200
마크 Ⅴ감속 45%
애블러티브 회복 +1,25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250
마크 Ⅵ감속 50%
애블러티브 회복 +1,500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300
베헤못 전용 오버드라이브이다. 적 함선이 베헤못의 이중 포격 각도로 들어오면 자신의 무기나 전투 중대들이 적 함선에게 감속을 적용시킬 수 있다. 마크 업을 할 수록 애블러티브 회복량이 증가하는데 베헤못의 특성상 기본 대미지 스레시홀드가 5,000이고 애블러티브 회복이 1,000밖에 안된다. 베헤못은 마크가 낮을 수록 애블러티브 회복이 발동되기 어려운데 특히 중량 문제 때문에 DPS를 높이기가 쉽지 않다. 오버드라이브가 발동 되어도 회복량만 늘려주지 대미지 스레시홀드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베헤못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어느 정도 마크 업을 해야 사용할만 하다.

1.3.9. 전투 증원군[16][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전투 증원군 (베헤못, 레비아단)
종류 및 이미지전투 증원군
(Hostility)
파일:over13.png
인게임 설명무기의 사정거리에 있는 적의 함선이 방어막이나 애블러티브 장갑을 잃으면 이 함선이 10초 동안 전투 모드로 전환합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 적 함선의 방어막이나 애블러티브 장갑을 잃으면 발동
애블러티브 회복 +45
애블러티브 고난 회복 +45
충전 방해 +38%
냉각 방해 +38%
발사 방해
함선에 장착할 수 있으며 움브라의 드레드노트만 장착 가능하다. 사정거리 내 적 함선이 방어막이나 애블러티브 장갑을 잃으면 자신의 회복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의 공격 속도를 늦춰준다.

1.3.10. 스토크[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에리코
종류 및 이미지스토크
(Stalk)
파일:over17.png
인게임 설명고난 네불라, 에리코가 에너지를 보충하면 함선이 10초 동안 향상하게 됩니다.
공통 성능고난 네불라 안에 있으면 발동
10초 지속
방어막 우회 +2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함선 속도 +20%
횡이동 +20%
방향 전환 속도 +20%
후방 속도 +20%
가속 +20%
애블러티브 방어력 +1%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20%
마크 Ⅱ함선 속도 +25%
횡이동 +25%
방향 전환 속도 +25%
후방 속도 +25%
가속 +25%
애블러티브 방어력 +2%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25%
마크 Ⅲ함선 속도 +30%
횡이동 +30%
방향 전환 속도 +30%
후방 속도 +30%
가속 +30%
애블러티브 방어력 +3%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30%
마크 Ⅳ함선 속도 +35%
횡이동 +35%
방향 전환 속도 +35%
후방 속도 +35%
가속 +35%
애블러티브 방어력 +4%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35%
마크 Ⅴ함선 속도 +40%
횡이동 +40%
방향 전환 속도 +40%
후방 속도 +40%
가속 +40%
애블러티브 방어력 +5%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40%
마크 Ⅵ함선 속도 +40%
횡이동 +40%
방향 전환 속도 +40%
후방 속도 +40%
가속 +40%
애블러티브 방어력 +5%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외계인, 고난 저항 +40%
에리코의 오버드라이브. 고난 네불라 안으로 들어가면 10초 동안 함선의 모든 이동 시스템을 향상시켜준다. 방어막 우회력과 저항력도 증가하는데 에리코가 소환하는 미르가 터지면 고난 네불라를 소환하므로 쉽게 발동할 수 있는 오버드라이브이다.


1.3.11. 라일[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에리코
종류 및 이미지라일
(Rile)
파일:over18.png
인게임 설명함선을 소환하면 8초 동안 에리코의 대미지 출력이 향상됩니다.
공통 성능함선 소환시 발동
8초 지속
최대 5회 장착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함선 피해 +1%
고난 보너스 대미지 +1%
마크 Ⅱ함선 피해 +2%
고난 보너스 대미지 +2%
마크 Ⅲ함선 피해 +3%
고난 보너스 대미지 +3%
마크 Ⅳ함선 피해 +4%
고난 보너스 대미지 +4%
마크 Ⅴ함선 피해 +5%
고난 보너스 대미지 +5%
마크 Ⅵ함선 피해 +5%
고난 보너스 대미지 +5%
에리코의 오버드라이브. 에리코가 함선을 소환하였을 때 발동한다. 에리코의 생성자인 미르가 자폭하는 함선이다보니, 적에게 계속 들이받을 수 있다면 중첩은 빠르게 쌓인다. 즉, 적과 어느정도 근접한 상태에서 계속 유지힐 수 있다는 것. 마크 1 기준으로 능력치가 겨우 +1%밖에 안되는게 특징.

1.3.12. 피에 대한 갈증[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발레이븐, 아마록, 웬디고, 레비아단
종류 및 이미지피에 대한 갈증
(Bloodthirst)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계속된 공격은 움브라 선체의 대미지 정보를 증가시킵니다. N 내구력 피해를 입힌 경우 8초 동안 추가 장착이 적용됩니다.
공통 성능N 내구력 피해를 입히면 발동
8초 지속
최대 5회 장착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750
DPS +6%
마크 ⅡN=750
DPS +6%
마크 ⅢN=925
DPS +8%
마크 ⅣN=925
DPS +8%
마크 ⅤN=1,125
DPS +10%
마크 ⅥN=1,125
DPS +10%
발레이븐, 아마록, 웬디고, 레비아단이 갖는 오버드라이브로 일정 내구력 피해를 입히면 공격력이 증가한다. 최대 5회까지 중첩될 수 있어 마크 엘리트 기준으로 DPS가 최대 +50%까지 증가될 수 있다. 지속 시간이 8초이기 때문에 중첩 유지가 쉽다.

1.3.13. 혼란 야기[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발레이븐
종류 및 이미지혼란 야기
(Dislocate)
파일:over8.png
인게임 설명적이 발레이븐의 최대 사정거리 내에서 파괴되면 새로운 표적 및 위치를 바꾸기 위해 속도 부스트가 촉발됩니다. 4초 동안 속도를 올립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 적 함선 파괴되면 발동
4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횡이동 +30%
방향 전환 속도 +15%
마크 Ⅱ횡이동 +35%
방향 전환 속도 +15%
마크 Ⅲ횡이동 +40%
방향 전환 속도 +20%
마크 Ⅳ횡이동 +45%
방향 전환 속도 +20%
마크 Ⅴ횡이동 +50%
방향 전환 속도 +25%
마크 Ⅵ횡이동 +55%
방향 전환 속도 +25%
발레이븐 전용 오버드라이브. 사정거리 내 적 함선이 파괴되면 횡이동 속도와 방향 전환 속도를 증가시켜주는데 빠르게 위치를 바꾸는데 특화되어 있다. 사정거리 내 함선이 파괴되어야 발동되는지라 만약 발레이븐 함대를 가지고 온다면 함선 하나는 오버드라이브가 적용되지 못해 수동으로 컨트롤하는 경우 함대 대열이 흩어져 컨트롤이 조금 더 어려워지는 부분이 있다.

1.3.14. 무력화시키다[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레비아단
종류 및 이미지무력화시키다
(Incapacitate)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레비아단의 포격 각도 내에 있는 적은 그들의 무기에 감속이 크게 추가되어 받을 대미지를 회피할 수 있는 능력을 억제시킵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에 적 함선이 들어오면 발동
5초 지속
최대 5회 장착
감속 20%
감속 10초 지속
레비아단의 무기 사정거리 내로 들어오면 발동하는 오버드라이브이며 공격 받은 적 함선에게 감속을 적용시킨다. 감속은 10초 동안 지속되고 중첩될 수 있으며 만약 적 함선이 중첩 시간인 5초 이내로 한번씩 공격 받아 총 5번 공격 받는다면 감속이 100%로 중첩되어 아예 못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 드레드노트끼리는 감속 저항이 있기 때문에 쓸모가 없다.

1.3.15. 맹습[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레비아단
종류 및 이미지맹습
(Onslaught)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레비아단 드레드노트가 2,000 대미지를 입으면 공격적인 일제 사격의 폭발적인 미사일이 레비아단에서 발사되며, 적을 찾아내고 전장에 파멸이 쏟아집니다.
공통 성능2,000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발사체 사정거리 12,000m
무기 속도 3,000m/s
방어막 우회 +1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미사일 폭발성 DPS: 1,000
마크 Ⅱ미사일 폭발성 DPS: 1,500
마크 Ⅲ미사일 폭발성 DPS: 2,000
마크 Ⅳ미사일 폭발성 DPS: 2,500
마크 Ⅴ미사일 폭발성 DPS: 3,000
마크 Ⅵ미사일 폭발성 DPS: 3,500
레비아단이 2,000 대미지를 입으면 사정거리가 12,000m나 되는 미사일을 여러개 발사한다. 방어막 우회까지 있어 내구력에 피해를 주는 정도를 증가시킨다.

1.3.16. 정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아마록
종류 및 이미지정체
(Congest)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아마록의 포격 각도 내에 있는 적은 각 적에 적용되는 무기 전파 방해가 증가하여 4초 동안 적의 공격력을 감소시킵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에 적 함선이 들어오면 발동
4초 지속
최대 3회 장착
발사 방해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충전 방해 +10%
냉각 방해 +10%
마크 Ⅱ충전 방해 +10%
냉각 방해 +10%
마크 Ⅲ충전 방해 +20%
냉각 방해 +20%
마크 Ⅳ충전 방해 +20%
냉각 방해 +20%
마크 Ⅴ충전 방해 +30%
냉각 방해 +30%
마크 Ⅵ충전 방해 +30%
냉각 방해 +30%
아마록 전용 오버드라이브. 사정거리 내로 적 함선이 들어오면 발동하며 적 함선을 공격하면 무기 공격 속도에 디버프가 적용된다. 마크 엘리트 기준 최대 무기 충전 방해와 냉각 방해가 90%까지 적용될 수 있어서 전투기 함선과 대응할 때 쉽게 디버프를 적용시킬 수 있어 유용하지만 사정거리가 긴 레인저와 같은 경우 디버프 적용이 어려워 제대로 오버드라이브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3.17. 스크램블[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웬디고
종류 및 이미지스크램블
(Scramble)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적의 포격 각도에 들어갈 때 웬디고는 적과 간극을 줄이기 위한 속도 부스트를 얻고 표적을 공격합니다. 5초 동안 속도를 올립니다.
공통 성능사정거리 내에 적 함선이 들어오면 발동
5초 지속
가속 +10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방어막 우회 +30%
함선 속도 +50%
마크 Ⅱ방어막 우회 +30%
함선 속도 +50%
마크 Ⅲ방어막 우회 +40%
함선 속도 +50%
마크 Ⅳ방어막 우회 +40%
함선 속도 +50%
마크 Ⅴ방어막 우회 +50%
함선 속도 +50%
마크 Ⅵ방어막 우회 +50%
함선 속도 +50%
웬디고 전용 오버드라이브. 적 함선의 무기 사정거리 내에 있으면 함선 속도와 가속도가 증가하고 방어막 우회력도 늘려준다. 상당히 빠르게 함선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정거리가 길어서 멀리서도 발동 가능한 레인저 함선에게는 강하지만 타이탄 함선에게는 조금은 약한 모습을 보인다. 방어막 우회력을 높일 수 있지만 웬디고는 DPS를 높여주는 기능이 없어 타이탄과 맞서기에는 취약하다.

1.4. 파마콘[편집]



1.4.1. 페이즈 상태[편집]


해당되는 함선트로이, 데몬, 인히비터, 오메가
페이즈 시작 보너스파일:over11_fixed.png
인게임 설명페이즈된 함선의 공격력이 줄어드는 대신 방어력이 100%로 증가됩니다.
공통 성능충전 시간 +50%
무기 냉각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함선 속도 +140%
횡이동 +140%
마크 Ⅱ함선 속도 +155%
횡이동 +155%
마크 Ⅲ함선 속도 +170%
횡이동 +170%
마크 Ⅳ함선 속도 +185%
횡이동 +185%
마크 Ⅴ함선 속도 +200%
횡이동 +200%
마크 Ⅵ함선 속도 +200%
횡이동 +200%
7티어 파마콘 함선은 이 보너스를 받지만 예외로 플렉서스 항공모함은 함선 속도가 증가되지 않는다.

7티어 파마콘의 드레드노트인 세그폴트 드레드노트는 다음과 같은 보너스를 받는다.
해당되는 함선세그폴트
페이즈 시작 보너스파일:over11_fixed.png
인게임 설명페이즈된 함선의 공격력이 줄어드는 대신 방어력이 100%로 증가됩니다.
공통 성능충전 시간 +50%
무기 냉각 +50%
방향 전환 속도 +39°/초
가속 +580m/s²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함선 속도 +600m/s
마크 Ⅱ함선 속도 +700m/s
마크 Ⅲ함선 속도 +800m/s
마크 Ⅳ함선 속도 +900m/s
마크 Ⅴ함선 속도 +1,000m/s
마크 Ⅵ함선 속도 +1,100m/s

8티어 파마콘 함선들은 다음과 같은 속도 보너스를 얻는다.
해당되는 함선교환수, 모니터, 벡터, 제타바이트
페이즈 시작 보너스파일:over11_fixed.png
인게임 설명페이즈된 함선의 공격력이 줄어드는 대신 방어력이 100%로 증가됩니다.
공통 성능충전 시간 +50%
무기 냉각 +50%
함선 속도 +200%
횡이동 +200%
방향 전환 속도 +200%
제타바이트 한정방향 전환 속도 +39°/초
가속 +580m/s²


1.4.2. 페이즈 상태 종료 (트로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트로이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나가는 순간 보너스를 촉발합니다. 보너스는 6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6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0%
마크 Ⅱ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5%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5%
마크 Ⅲ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2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20%
마크 Ⅳ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25%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25%
마크 Ⅴ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3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30%
마크 Ⅵ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30%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30%
트로이 순양함은 페이즈 상태 종료 시 속성 저항과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감소 효과를 받는다. 5가지 속성 저항력을 제공해주기에 체력이 잘 까이지 않게 된다. 또 DoT 스레시홀드 감소를 통해 DoT 대미지의 양을 증가시켜준다.


1.4.3. 페이즈 상태 종료 (데몬)[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데몬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나가는 순간 보너스를 촉발합니다. 보너스는 6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6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oT 장착 +5
무기 속도 +10%
교전 반경 +50%
마크 ⅡDoT 장착 +10
무기 속도 +20%
교전 반경 +60%
마크 ⅢDoT 장착 +15
무기 속도 +30%
교전 반경 +70%
마크 ⅣDoT 장착 +20
무기 속도 +40%
교전 반경 +80%
마크 ⅤDoT 장착 +25
무기 속도 +50%
교전 반경 +100%
마크 ⅥDoT 장착 +25
무기 속도 +50%
교전 반경 +100%
격퇴포 무기에만 적용되는 보너스이다. 데몬 전함이 페이즈 상태를 종료하면 일시적으로 격퇴포 무기의 성능과 상대에게 가하는 DoT 대미지를 늘려준다. 특히 이원 격퇴포와의 궁합이 잘 맞다.


1.4.4. 페이즈 상태 종료 (세그폴트)[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세그폴트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나가는 순간 보너스를 촉발합니다. 보너스는 N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3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0%
DoT 장착 +5
마크 Ⅱ4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3%
DoT 장착 +10
마크 Ⅲ5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6%
DoT 장착 +15
마크 Ⅳ6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19%
DoT 장착 +20
마크 Ⅴ7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22%
DoT 장착 +25
마크 Ⅵ8초 지속
DoT 대미지 스레시홀드 -25%
DoT 장착 +30
트로이 순양함처럼 일시적으로 상대에게 가하는 DoT 대미지의 양을 늘려준다. 함선의 DPS가 높은 드레드노트 특성상 높은 효과를 받는다.


1.4.5. 페이즈 상태 종료 (인히비터)[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인히비터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나가는 순간 보너스를 촉발합니다. 보너스는 N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DPS +1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2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10%
고난 저항 +4%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2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25
억제 6초 지속
마크 Ⅱ3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15%
고난 저항 +8%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3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50
억제 9초 지속
마크 Ⅲ4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20%
고난 저항 +12%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4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75
억제 12초 지속
마크 Ⅳ5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25%
고난 저항 +16%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5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100
억제 15초 지속
마크 Ⅴ6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30%
고난 저항 +20%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6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125
억제 18초 지속
마크 Ⅵ6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저항 +30%
고난 저항 +20%
대미지 스레시홀드 억제 +60%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125
억제 18초 지속
인히비터는 페이즈 종료시 인히비터에게 공격 받은 함선은 애블러티브 억제가 적용되며 애블러티브의 발동 조건인 대미지 스레시홀드를 높이고 회복량을 낮춰서 움브라와 상대하기가 쉬워진다.

1.4.6. 페이즈 상태 종료 (오메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메가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나가는 순간 보너스를 촉발합니다. 보너스는 N초 동안 지속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DoT 장착 +100
함선 속도 -100%
후방 속도 -100%
횡이동 -100%
방향 전환 속도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2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0%
마크 Ⅱ2.25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2.5%
마크 Ⅲ2.5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5%
마크 Ⅳ2.75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17.5%
마크 Ⅴ3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20%
마크 Ⅵ3초 지속
에너지, 폭발성, 키네틱, 플라즈마, 고난 저항 +20%
페이즈 상태 종료시 오메가는 DoT 장착 수 증가와 여러 속성에 저항을 갖지만 함선 속도가 -100%가 되어서 전혀 움직일 수가 없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페이즈를 종료하면 오메가 레이저를 발사하여 이 레이저에 맞는 함선은 DoT 장착이 쌓이기 쉬워진다.

1.4.7. 오메가 레이저[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오메가
종류 및 이미지오메가 레이저
Omega Beam
파일:over20.png
인게임 설명플라즈마 레이저는 포켓 차원에서 축적 이온화된 입자로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이 레이저는 페이즈를 종료한 직후 함선의 앞쪽에서 직접 발사되며 사정거리 내에 있는 목표물을 섬멸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사정거리: 5,0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500
발사 시간: 1초
마크 Ⅱ플라즈마 DPS: 625
발사 시간: 1.25초
마크 Ⅲ플라즈마 DPS: 750
발사 시간: 1.5초
마크 Ⅳ플라즈마 DPS: 825
발사 시간: 1.75초
마크 Ⅴ플라즈마 DPS: 1,000
발사 시간: 2초
마크 Ⅵ플라즈마 DPS: 1,000
발사 시간: 2초
페이즈 상태 종료 후 1초 뒤에 오메가는 플라즈마 레이저를 발사하며 마크업을 할 수록 DPS와 발사 지속 시간이 늘어난다. DoT 스택을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명중한다면 움브라에게 지속적인 딜을 넣을 수 있다.

1.4.8. 네트워크 동기화[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플렉서스
종류 및 이미지네트워크 동기화
Network Sync
파일:over21.png
인게임 설명플렉서스 방어가 N 대미지를 받을 때 항공모함 필드 사정거리 내에 있는 항공모함과 우호 함선을 방어 우회시켜줍니다.
공통 성능N 대미지를 받으면 발동
페이즈 8초 지속
4초 냉각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3,500
마크 ⅡN=3,500
마크 ⅢN=4,000
마크 ⅣN=4,000
마크 ⅤN=4,500
마크 ⅥN=4,500
플렉서스 전용 오버드라이브. 일정 내구력 대미지를 입으면 항공모함의 지원 필드 내에 있는 파마콘 함선들을 즉시 페이즈 상태로 진입시켜준다. 페이즈 상태를 8초 동안 진입시켜주며 4초마다 오버드라이브를 발동할 수 있다.

1.4.9. 레이저 배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플렉서스
종류 및 이미지네트워크 동기화
Network Sync
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적 함선 3대가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초강력 플라즈마 레이저가 배열로 촉발됩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 3대가 포격 각도 내로 들어오면 발동
사정거리: 11,000m
3초 발사
모듈 피해 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575
마크 Ⅱ플라즈마 DPS: 700
마크 Ⅲ플라즈마 DPS: 825
마크 Ⅳ플라즈마 DPS: 900
마크 Ⅴ플라즈마 DPS: 1,075
마크 Ⅵ플라즈마 DPS: 1,075
적 함선 3대가 플렉서스 포격 각도 내로 들어오면 11,000미터의 사정거리를 가진 플라즈마 레이저로 적 함선을 공격한다. 플렉서스 사정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레이저로부터 도망치기는 어려우며 과거에는 이를 이용해 공격을 거의 받지 않고 기지 공략을 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모듈에 대미지를 못주도록 패치가 되었다.

1.4.10. 파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교환수
종류 및 이미지파열
Rupture
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를 종료한 직후 교환수는 일시적으로 무기 시스템을 압도하여 적이 사정거리에 들어오면 즉시 발사되는 다수의 발사체를 제작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2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500%
마크 ⅡDPS +500%
마크 ⅢDPS +525%
마크 ⅣDPS +525%
마크 ⅤDPS +550%
마크 ⅥDPS +550%
교환수 전용 오버드라이브. 페이즈 상태를 종료하면 짧은 시간 동안 DPS가 매우 높아지고 무기를 즉시 발사한다. DPS가 최소 6배는 증가하기 때문에 파마콘임에도 알타리안 또는 가끔씩 그 이상의 티어인 스펙터나 리버레이터스 함선까지 파괴할 때도 있다.

1.4.11. 균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벡터
종류 및 이미지균열
Fracture
파일:over22.png
인게임 설명벡터가 페이즈 상태를 종료할 때 애블러티브 장갑을 파괴하는 고속 플라즈마 사격을 개시하여 적을 추가 공격에 노출시킵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무기 속도 5,000m/s
발사체 사정거리 9,000m
리코쳇: 3
표적당 리코쳇: 2
리코쳇 감지 사정거리: 3,500m
최대 리코쳇 각도: 360도
리코쳇 발사체 사정거리: 4,000m
리코쳇 대미지 보너스 100%
내구력 피해 +25%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50%
억제 10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4,000
마크 Ⅱ플라즈마 DPS: 4,000
마크 Ⅲ플라즈마 DPS: 5,000
마크 Ⅳ플라즈마 DPS: 5,000
마크 Ⅴ플라즈마 DPS: 7,000
마크 Ⅵ플라즈마 DPS: 7,000
벡터 전용 오버드라이브. 벡터가 페이즈 상태를 종료하면 적 함선을 향해서 플라즈마 발사체를 발사하고 사정거리 내에 적이 없으면 함선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발사한다. 내구력에 추가 피해를 주고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가 있어 움브라 함선에게 효과적이지만 8티어 움브라 함선은 리코쳇 저항이 있어 리코쳇 성능은 별로 쓸모가 없다.

1.4.12. 기가펄스[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제타바이트
종류 및 이미지기가펄스
Giga-Pulse
파일:over21.png
인게임 설명제타바이트 드레드노트 방어가 N 대미지를 받을 때, 엄청난 일시적 플라즈마 에너지를 발사하여 공격 사정 거리에 있는 모든 적에게 DoT를 적용합니다.
공통 성능N 방어막 대미지를 받으면 발동
교전 반경 8,000m
DoT 장착 +1,00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10,000
플라즈마 DPS: 1,000
마크 ⅡN=10,000
플라즈마 DPS: 1,000
마크 ⅢN=15,000
플라즈마 DPS: 1,500
마크 ⅣN=15,000
플라즈마 DPS: 1,500
마크 ⅤN=20,000
플라즈마 DPS: 2,000
마크 ⅥN=20,000
플라즈마 DPS: 2,000
제타바이트가 일정한 스크린 대미지를 입으면[17] 넓은 교전 반경을 가진 플라즈마 에너지를 방출하여 대미지를 입히고 DoT 피해를 입힌다.

1.4.13. 스터터 살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제타바이트
종류 및 이미지스타터 살보
Stutter Salvo
파일:over23.png
인게임 설명제타바이트 드레드노트가 페이즈 상태로 들어가면서 이동성을 무력화하고 애블러티브 장갑을 부식하는 단일 고부식성의 플라즈마 유선유도 격퇴포를 발사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로 들어가면 발동
사정거리 12,000m
발사체 사정거리 14,000m
발사체 속도 3,000m/s
교전 반경 6,0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3,000
감속 25%
마크 Ⅱ플라즈마 DPS: 4,000
감속 25%
마크 Ⅲ플라즈마 DPS: 5,000
감속 50%
마크 Ⅳ플라즈마 DPS: 6,000
감속 50%
마크 Ⅴ플라즈마 DPS: 7,000
감속 75%
마크 Ⅵ플라즈마 DPS: 8,000
감속 75%
제타바이트가 페이즈 상태로 들어가면 먼 거리까지도 발사할 수 있는 넓은 교전 반경의 플라즈마 발사체 하나를 발사한다. 이때 반경 내에 있는 적 함선은 감속 효과를 가져 제타바이트를 따라가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1.4.14. 디프래그[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모니터
종류 및 이미지디프래그
Defrag
파일:over19.png
인게임 설명페이즈 상태 종료시 모니터는 보다 강력한 플라즈마 폭발물을 3초 동안 3회 폭발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 상태가 종료되면 발동
사정거리 5,500m
교전 반경 5,500m
내구력 피해 +25%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400 - 800 - 1,600
마크 Ⅱ플라즈마 DPS: 400 - 800 - 1,600
마크 Ⅲ플라즈마 DPS: 600 - 1,200 - 2,400
마크 Ⅳ플라즈마 DPS: 600 - 1,200 - 2,400
마크 Ⅴ플라즈마 DPS: 800 - 1,600 - 3,200
마크 Ⅵ플라즈마 DPS: 800 - 1,600 - 3,200
모니터가 페이즈 상태를 종료하면 자신을 중심으로 플라즈마 충격파를 방출하여 교전 반경 내 적에게 플라즈마 대미지를 입힌다. 1초마다 1번씩 총 3회 폭발하는 데 각 충격파는 점점 대미지가 강해진다. 내구력 피해에 추가 대미지를 주기에 움브라 함선에게 더 효과적이다.

1.4.15. 부수 통상[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모니터
종류 및 이미지부수 통상
Ancillary Routine
파일:over21.png
인게임 설명모니터가 부수 통상 트리거가 페이지되지 않으면서 스크린에 2,000 대미지를 입는 경우 2 드론 무리를 출격시켜서 함대를 보호하고 적을 혼란시키고 제거합니다.
공통 성능페이즈가 아닌 상태에서 스크린에 2,000 대미지를 입으면 발동
비행 시간 15초
스크램블 6,000m
드론 중대 속도 1,800m/s
애블러티브 회복 억제 -50%
억제 10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플라즈마 DPS: 150
비행 중대 내구력: 10,000
마크 Ⅱ플라즈마 DPS: 150
비행 중대 내구력: 10,000
마크 Ⅲ플라즈마 DPS: 250
비행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Ⅳ플라즈마 DPS: 250
비행 중대 내구력: 12,500
마크 Ⅴ플라즈마 DPS: 400
비행 중대 내구력: 15,000
마크 Ⅵ플라즈마 DPS: 400
비행 중대 내구력: 15,000
모니터가 페이즈가 아닌 상태에서 2,000 대미지를 입으면 드론 중대를 출격시켜서 플라즈마 대미지를 준다. 드론 중대에게 공격 받은 움브라 함선은 10초간 애블러티브 억제가 50%가 적용되어 회복량을 감소시킨다.

1.5. 스펙터[편집]



1.5.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스위치)[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스위치
종류 및 이미지파일:Primeshift_Fixed.png
인게임 설명프라임 시프트 상태 동안 스위치가 전투와 이동성 보너스를 얻습니다.
공통 성능함선 속도 +50%
페이즈 충전 해킹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10%
해킹 1초 지속
마크 ⅡDPS +10%
해킹 1초 지속
마크 ⅢDPS +20%
해킹 2초 지속
마크 ⅣDPS +20%
해킹 2초 지속
마크 ⅤDPS +30%
해킹 3초 지속
마크 ⅥDPS +30%
해킹 3초 지속
스위치가 트리거 스레시홀드에 도달할 경우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효과를 받게 되며 함선 속도와 DPS가 증가된다. 그리고 파마콘 함선의 페이즈 충전을 해킹할 수 있어 파마콘과 유리하게 상대할 수 있다.

1.5.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스위치)[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스위치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임의의 2 생성된 함선이 프라임 시프트 모드에 들어간 스위치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스위치가 생선된 적 함선의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해킹하여 15초 동안 이를 제어하고 근처 적의 무기와 이동성 시스템도 방해합니다. 냉각 기간이 15초입니다.
공통 성능프라임 시프트 상태인 스위치의 포격 각도 내에 아군 또는 적군의 생성된 함선 2대가 들어오면 발동
사정거리 5,000m
발사 방해
충전 방해 +100%
냉각 방해 +100%
감속 70%
감속 냉각 2초
마인드 컨트롤 면역 5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감속 1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5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10%
마크 Ⅱ감속 1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5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10%
마크 Ⅲ감속 2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7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20%
마크 Ⅳ감속 2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7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20%
마크 Ⅴ감속 3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10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30%
마크 Ⅵ감속 3초 지속
마인드 컨트롤 전환 10초 지속
생성된 함선 DPS +30%
프라임 시프트 모드에 들어간 스위치 함선 포격 각도에 생성된 함선 2대 이상이 들어오면 프라임 시프트를 활성화하여 범위 내 적 함선은 공격성과 이동성을 매우 약화시킨다. 그리고 생성된 적 함선은 마인드 컨트롤에 의하여 적 함선을 공격하도록 해킹한다. 해킹을 할 때 생성된 적 함선의 DPS가 증가하는지라 적 입장에서는 위험해질 수 있다. 스위치를 마크업 시킬수록 해킹 지속 시간이 늘어난다. 이 프라임 시프트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선 냉각 시간만큼 기다려야 한다.

1.5.3. 프로제네터 앰프[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스위치
종류 및 이미지프로제네터 앰프
Progenitor Amp
파일:over24.png
인게임 설명임의의 1 생성된 함선이 스위치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5초 동안 전투 보너스를 얻어 다수의 생성된 함선에 더 효과적입니다.
공통 성능생성된 함선이 스위치의 포격 각도 내로 들어오면 발동
5초 지속
최소 효과적 거리 -100%
최소 무기 사정거리 -100%
교전 반경 +5%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생성된 함선 대미지 +10%
방향 전환 속도 +2%
마크 Ⅱ생성된 함선 대미지 +10%
방향 전환 속도 +2%
마크 Ⅲ생성된 함선 대미지 +15%
방향 전환 속도 +3%
마크 Ⅳ생성된 함선 대미지 +15%
방향 전환 속도 +3%
마크 Ⅴ생성된 함선 대미지 +20%
방향 전환 속도 +5%
마크 Ⅵ생성된 함선 대미지 +20%
방향 전환 속도 +5%
스위치 전용 오버드라이브. 아군 또는 적군의 생성된 함선이 스위치의 포격 각도 내로 들어오면 발동하는 데 이때 무기의 최소 사거리가 완전히 없어진다는 게 스위치만의 독특한 이점이다. 최소 효과적 거리와 무기의 최소 사거리가 0미터로 줄어들기 때문에 최소 사거리가 긴 무기를 스위치에 장착을 해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는 함선을 빠르게 소환하다보니 오버드라이브도 지속하기가 쉽다. 추가로 생성된 함선에게는 더 많은 대미지를 주고 방향 전환 속도도 약간 더 빨라진다.

1.5.4.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브레이커)[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브레이커
종류 및 이미지파일:Primeshift_Fixed.png
인게임 설명프라임 시프트 상태 동안 브레이커가 전투 보너스를 얻고 방어막에 주는 동맹 대미지를 부스트하는 지원 필드를 방출합니다.
공통 성능방어막 공격 필드 방출
방어막 공격 필드 사정거리 4,0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무기 충전 시간 -20%
무기 냉각 -20%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5%
마크 Ⅱ무기 충전 시간 -20%
무기 냉각 -20%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5%
마크 Ⅲ무기 충전 시간 -25%
무기 냉각 -25%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10%
마크 Ⅳ무기 충전 시간 -25%
무기 냉각 -25%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10%
마크 Ⅴ무기 충전 시간 -30%
무기 냉각 -30%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15%
마크 Ⅵ무기 충전 시간 -30%
무기 냉각 -30%
방어막 공격 필드 방어막 피해 +15%
브레이커가 트리거 스레시홀드에 도달하면 무기의 충전 시간과 냉각 시간이 감소되어 공격 속도가 빨라지고 지원 필드를 방출하는데 이때 자신의 함선이 방어막에 가하는 피해량을 증가시킨다. 이러면 브레이커 뿐만 아니라 다른 함선들도 방어막에 가하는 피해를 증가시켜 방어막을 쉽게 녹여낼 수 있다.

1.5.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브레이커)[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브레이커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10.png
인게임 설명프라임 시프트 상태 동안 적 함선에게 25,000 방어막 대미지를 줄 때, 브레이커가 대미지를 주고 적 방어막 재생을 방해하는 미사일 탄막을 발사합니다. 무기 냉각은 15초 입니다.
공통 성능브레이커가 프라임 시프트 상태에서 적 함선의 방어막에 25,000 대미지를 주면 발동
무기 사정거리 0-3,0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무기 에너지 DPS: 1,500
방어막 재생 -25%
방어막 재생 억제 5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냉각
마크 Ⅱ무기 에너지 DPS: 1,750
방어막 재생 -25%
방어막 재생 억제 5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냉각
마크 Ⅲ무기 에너지 DPS: 2,000
방어막 재생 -25%
방어막 재생 억제 5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냉각
마크 Ⅳ무기 에너지 DPS: 2,250
방어막 재생 -25%
방어막 재생 억제 5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냉각
마크 Ⅴ무기 에너지 DPS: 2,500
방어막 재생 -50%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5초 냉각
마크 Ⅵ무기 에너지 DPS: 3,000
방어막 재생 -50%
방어막 재생 억제 10초 지속
방어막 재생 억제 15초 냉각
브레이커가 프라임 시프트 상태에서 적 방어막에 25,000 대미지를 입히면 프라임 시프트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적 함선의 방어막 재생을 억제하여 충전 속도를 늦추게 된다. 마크 5부터 방어막 억제 능력이 강화되기 때문에 브레이커는 여러번의 마크업이 필요하다.

1.5.6. 자동 추적[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브레이커
종류 및 이미지자동 추적
Lock On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적 함선이 브레이커의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5초 동안 이동성과 전투 보너스를 얻어 적의 방어막을 자동 추적하고 파괴합니다.
공통 성능브레이커의 포격 각도에 적 함선이 들어오면 발동
5초 지속
가속 +50%
페이즈 충전 해킹 -50%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방어막 피해 +25%
함선 속도 +15%
횡이동 +5%
해킹 1초 지속
마크 Ⅱ방어막 피해 +25%
함선 속도 +15%
횡이동 +5%
해킹 1초 지속
마크 Ⅲ방어막 피해 +30%
함선 속도 +20%
횡이동 +10%
해킹 2초 지속
마크 Ⅳ방어막 피해 +30%
함선 속도 +20%
횡이동 +10%
해킹 2초 지속
마크 Ⅴ방어막 피해 +35%
함선 속도 +25%
횡이동 +15%
해킹 3초 지속
마크 Ⅵ방어막 피해 +35%
함선 속도 +25%
횡이동 +15%
해킹 3초 지속
브레이커 전용 오버드라이브. 적 함선이 브레이커의 포격 각도 내로 들어오기만 해도 발동되며 방어막 피해와 함선 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브레이커는 공격할 때 항상 방어막 피해량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고 함선 속도와 가속도도 증가하기 때문에 다음 타겟한테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브레이커의 오버드라이브와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및 활성화의 성능을 보면 방어막에게 주는 피해량 증가가 중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적 함선의 방어막을 집중적으로 공격하는데 특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5.7.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데드아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데드아이
종류 및 이미지파일:Primeshift_Fixed.png
인게임 설명프라임 시프트 상태 동안 데드아이가 전투 보너스를 얻어 무기 대미지와 발사체 속도를 늘려줍니다.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DPS +25%
무기 속도 +30%
마크 ⅡDPS +25%
무기 속도 +30%
마크 ⅢDPS +35%
무기 속도 +40%
마크 ⅣDPS +35%
무기 속도 +40%
마크 ⅤDPS +50%
무기 속도 +50%
마크 ⅥDPS +50%
무기 속도 +50%
데드아이의 DPS와 무기 속도가 증가한다.

1.5.8.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데드아이)[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데드아이
종류 및 이미지파일:over3.png
인게임 설명프라임 시프트 상태 동안 모든 N 발사 주기마다 데드아이가 이동 경로에 민첩 필드를 운송하는 장거리 유선유도 감속 미사일을 발사합니다. 이 미사일은 우선적으로 사정거리 내에 있는 헌터 함선부터 공격합니다. 무기 냉각은 15초입니다.
공통 성능프라임 시프트 상태에서 무기를 N회 발사시 발동
사정거리 8,000m
무기 속도 750m/s
교전 반경 600m
민첩 필드 사정거리 10,000m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N=20
감속 50%
감속 3초 지속
감속 8초 냉각
민첩 +15%
마크 ⅡN=20
감속 50%
감속 3초 지속
감속 8초 냉각
민첩 +15%
마크 ⅢN=25
감속 60%
감속 4초 지속
감속 9초 냉각
민첩 +20%
마크 ⅣN=25
감속 60%
감속 4초 지속
감속 9초 냉각
민첩 +20%
마크 ⅤN=30
감속 75%
감속 5초 지속
감속 10초 냉각
민첩 +30%
마크 ⅥN=30
감속 75%
감속 5초 지속
감속 10초 냉각
민첩 +30%
데드아이가 프라임 시프트 상태에서 무기를 일정 횟수 발사하게 되면 감속 미사일을 하나 발사한다. 천천히 움직이는 미사일로, 이 미사일 주변 반경 10,000미터 이내 아군 함선의 민첩성을 증가시킨다. 이때 민첩은 함선 속도, 횡이동, 후방 속도 증가에 적용이 되며 증가 효과는 중첩될 수 있어 여러 함선이 이 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1.5.9. 집중 사격[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데드아이
종류 및 이미지집중 사격
Focus Fire
파일:over2.png
인게임 설명적 함선이 데드아이의 중복 포격 각도에 들어오면, 3초 동안 회전 속도를 올리고 무기의 확산력을 줄려 데드아이의 사격을 집중시킵니다.
공통 성능적 함선이 이중포격 각도에 위치하면 발동
3초 지속
페이즈 충전 해킹 -25%
페이즈 충전 해킹 2초 지속
마크업 별 성능마크 Ⅰ확산력 -25%
방향 전환 속도 +10%
마크 Ⅱ확산력 -25%
방향 전환 속도 +10%
마크 Ⅲ확산력 -50%
방향 전환 속도 +15%
마크 Ⅳ확산력 -50%
방향 전환 속도 +15%
마크 Ⅴ확산력 -75%
방향 전환 속도 +20%
마크 Ⅵ확산력 -75%
방향 전환 속도 +20%
데드아이 전용 오버드라이브. 적 함선이 데드아이의 이중포격 각도에 위치하면 발동하며 파마콘 함선의 페이즈 충전을 해킹하고 발사체의 확산력이 감소한다. 확산력을 감소시켜 빗나가는 발사체가 없도록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방향 전환 속도 또한 빨라져 빠르게 타겟을 바꾸기 쉬워진다.

1.5.10.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토러스)[편집]




1.5.11.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토러스)[편집]



1.5.12. 스펙터 작전[편집]




1.5.1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커맨단테)[편집]




1.5.14.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커맨단테)[편집]



1.5.15. 강화 상태[편집]




1.5.1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아크)[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종류 및 이미지마크업 별 성능
마크Ⅰ마크Ⅱ마크Ⅲ마크Ⅳ마크Ⅴ
아크파일:PrimeShift.png최대 효과적 거리 +10%
내구력 피해 +25%
최대 효과적 거리 +15%
내구력 피해 +35%
최대 효과적 거리 +20%
내구력 피해 +50%


1.5.1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아크)[편집]


보유 함선 및 부품종류 및 이미지공통 성능마크 업 별 성능
마크 I마크 II마크 III마크 IV마크 V
아크파일:over2.png둘 이상의 적이 포각에 있을 때 발동
사정거리 0~8,000m, 발사체 속도 5,000m/s, 교전 반경 300m의 에너지 볼트(에너지 속성) 발사
10초 지속
DPS 4,000, 연속 5, 연속 반경 3,000m, 연속 대미지 보너스 +130%DPS 5,500, 연속 7, 연속 반경 3,500m, 연속 대미지 보너스 +140%DPS 7,500, 연속 10, 연속 반경 4,000m, 연속 대미지 보너스 +150%


1.5.1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카스틱)[편집]




1.5.1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카스틱)[편집]



1.5.20. 갈등의 통찰력[편집]




1.5.2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서브버터)[편집]




1.5.2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서브버터)[편집]



1.5.2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버클러)[편집]



1.5.24. 프라임 시프트 이지스 필드 (버클러)[편집]



1.5.2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버클러)[편집]



1.5.2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브로드사이더)[편집]



1.5.2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됨 (브로드사이더)[편집]



1.5.2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잠입자)[편집]



1.5.2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잠입자)[편집]



1.5.30.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아키텍트)[편집]



1.5.31.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아키텍트)[편집]



1.5.32.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컨서버토르)[편집]



1.5.33.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컨서버토르)[편집]



1.5.34.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군함기)[편집]



1.5.35.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군함기)[편집]



1.5.3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캐논에이드)[편집]



1.5.3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캐논에이드)[편집]



1.5.38. 거리계[편집]



1.5.39.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변조기)[편집]



1.5.40. 변조기 프로토콜[편집]



1.5.41.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오피티오)[편집]



1.5.42.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오피티오)[편집]



1.5.43.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슬링샷)[편집]



1.5.44.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슬링샷)[편집]



1.5.45. 슬라이드 시스템[편집]



1.5.46.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캐피탈)[편집]



1.5.47.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캐피탈)[편집]



1.5.48. 프라임 시프트 부스트 (익스큐터)[편집]



1.5.49. 프라임 시프트 활성화 (익스큐터)[편집]



1.6. 레트로시터[편집]



1.6.1. 즉형 형태 - 감속[편집]



1.6.2. 즉형 형태 - 약화[편집]



1.6.3. 즉형 형태 - 방어막 방해[편집]



1.6.4. 즉형 형태 - 무기 전파 방해[편집]



1.6.5. 사냥꾼 계획 1단계[편집]



1.6.6. 사냥꾼 계획 2단계[편집]



1.6.7. 빠른 조립[편집]



1.6.8. 저지 시스템[편집]



1.6.9. 풀 리버스[편집]



1.6.10. 전장 구조 - 레인저[편집]



1.6.11. 전장 구조 - 타이탄[편집]



1.6.12. 전장 구조 - 전투기[편집]



1.7. 레트로신 컨소시엄[편집]



1.7.1. 통합 반사 시스템 (중재자)[편집]



1.7.2. 통합 반사 시스템 (미디에이터)[편집]



1.7.3. 통합 반사 시스템 (아르비트레이터)[편집]



1.7.4. 통합 반사 시스템 (에듀케이터)[편집]



1.7.5. 통합 반사 시스템 (저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23:53:50에 나무위키 VEGA Conflict/오버드라이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투 증원군 부품을 장착해야 발동될 수 있다.[2] 8.5초 동안의 충전 시간을 가지며, 4초 남았을 때 카운트다운 시간이 보여짐.[3] 오버드라이브가 발동하고 얼마 못가 내구력이 바닥나서 함선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4] 비행 중대 제외[5] 기본 보너스를 받는 미사일 류의 무기가 많이 선호된다.[6] 무기 개수가 5개일 경우 5회 발사로 취급[7] 지원 범위 11,000m, 함대 필드 방어막 방어력 +5%, 방어막 피해 +100%, 함대 필드 무기 속도 +50%[8] 지원 범위 11,000m, 함대 방어막 방어 +10%, 함선 대미지 +15%, 함대 방어막 재충전율 +10%, (함대 재충전 지연 없음)[9] 약탈자는 반격 오버드라이브 발전기가 없으며 셔크 오버드라이브 발전기라는 인가드와 똑같은 능력을 지닌 부품이 있다.[10] 계속해서 DoT 스텍이 쌓인다면 30초, 40초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11] 지원 범위 4,800m, 피해 할당 퍼센트 +100%[12] 특히 방어막 우회 보너스를 받는 아마록이나 웬디고에 취약하다. 방어막 우회 부품을 장착한 파마콘 함선도 예외가 아니다.[13] 비행 중대나 모듈은 포함되지 않는다.[14] 알타리안 모듈인 파일런 에미터가 생성한다.[15] 일반적으로 벽은 모든 무기가 자기 자신을 통과하는 것을 막는데, 오버드라이브가 발동되면 벽 자체가 일시적으로 사라진다.[16] 전투 증원군 부품을 장착해야 발동될 수 있다.[17] 페이즈 상태에서 입은 대미지는 합산되지 않는다.